전체 글 406

슈퍼 패미컴(SFC) 록맨 X 1(한글판)

1993년 12월 17일 슈퍼 패미컴으로 발매되어 록맨 시리즈에 대한 선입견을 와장창 날려버린 록맨 X 시리즈의 첫 작품. PC판도 출시되었다. 기종이 바뀌고 시대가 지나서인지 그래픽, 세계관, BGM, 디자인 모든 면에서 클래식 시리즈와 다르게 일신되었다. 주역도 아무리 봐도 꼬마였던 록맨 클래식 시리즈의 록맨에서 듬직한 청소년 등신을 가진 엑스로 변화, 이야기도 '나쁜 놈 대장을 퇴치해라'에서 '인간과 레플리 로이드의 공존'으로 조금 더 무게가 생기게 되고 세계관도 록맨 클래식 시리즈보다 좀 더 진지한 분위기로 바뀌게 됐다. 각 부위의 강화 파츠를 입수하여 파워업 하는 흰색 외형 자체도 나름대로 신선한 충격. 근대 록맨 X 엑스 일러스트가 다른 록맨 X 시리즈에 비해서 작다 모든 X 시리즈 중에서 유..

슈퍼 패미컴(SFC) 하멜의 바이올린 연주(한글판)

SFC용으로 횡스크롤 게임도 출시되었다. 제작사는 에닉스. 만화 노선의 엽기 코드를 그대로 채용. 스토리는 1권부터 4권까지의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되어 있어, 최종 보스는 대마왕이 아닌 요봉왕 사이져. 플레이어는 하멜을 조작하여 플루트를 무기로 집어던진다거나, 파워업 혹은 탈 것 등으로 이용한다거나 하는 식으로 다채롭게 활용 가능. 최종장에서는 라이엘도 아군으로 나온다. 덧붙여 플루트를 활용하는 플레이 중 '초필살기'가 있다. 한번 클리어 후 스텝 롤을 끝까지 다 보면 그 커맨드를 알려주는데, 키보드로 한 바퀴 돌리고 버튼 A. 슈퍼패미컴 컨트롤러가 십자키를 채용했었던 사실을 감안한다면, 에뮬레이터 상에서 키보드로 구현하기엔 굉장히 괴랄하다. 참고로 애뮬레이터 롬파일은 파이널 판타지를 비롯한 다른 SFC..

슈퍼 패미컴(SFC) 더 킹 오브 드래곤즈 (U)

《더 킹 오브 드래곤즈》는 캡콤이 발매한 1991년 아케이드 진행형 격투 게임이다. 전통 판타지 세계를 무대로 하며 최대 3명의 플레이어가 5개의 직업군 중 캐릭터를 선택해 진행한다. 시모무라 요코가 음악을 담당했다. 1994년에 슈퍼 패미컴 이식판이 발매됐다. 아케이드판은 이후 2006년 《캡콤 클래릭스 컬렉션》, 2018년 《캡콤 벨트 액션 컬렉션》에 수록됐다 일본 잡지 〈게임 머신〉은 1991년 10월 1일 자 발행본에서 《더 킹 오브 드래곤즈》를 《스트리트 파이터 II: 더 월드 워리어》를 제치고 그 해에 가장 성공적이었던 아케이드 게임으로 선정했다. 출처: 위키 백과 다운로드

슈퍼 패미컴(SFC) 하베스트 문(한글판)

목장 이야기 시리즈의 기념비적인 첫 작품. 북미판을 번역한 비공식 한글화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했다. 한글화 제작자는 김영진. 다만 번역기로 돌린듯한 말투에 오역도 꽤 보이고 가끔 영어가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정발 되지 않았다는 것을 감안하면 이 정도 수준은 양호한 편. 2022년 3월 31일부터 Nintendo Switch Online 가입자 한정으로 닌텐도 스위치에서 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다. 성년이 된 주인공이 독립하여 목장을 이끌어가는 이야기다. 1년 봄부터 3년 여름의 2년 반 동안 열심히 밭을 갈고 동물들을 키워 돈을 많이 버는 것이 게임의 목표다. 밭일과 사육을 하면서 돈을 모으고 돈이 모이면 집 등을 증축하고, 계절별 마을 이벤트를 보면서 마을의 처녀들에게 선물을 주고 이벤트를 보..

찌개에 흔한 식재료 애호박, 효능 효과는 어떨까요.

애호박은 우리의 밥상에서 찌개 종류나 전으로 흔히 사용되는 채소인데요. 애호박은 호박의 일종으로 호박 중에서 덜 자라 푸른빛을 띠고 있는 어린 호박을 가리키는 말인데요.봄에 심어 ‘늦봄~가을’에 수확을 한다고 해요. 제철에 출시된 애호박을 저렴한 가격으로 여러 가지 요리에 사용되는데, 삶아서 먹어도, 튀겨 먹어도 맛이 훌륭한데요. 스테이크와 구워 먹어도 맛있다고 해요. 단 겨울에는 노지재배가 안되어 하우스 재배만을 해서 가격이 비싸지는데, 겨울철에 애호박이 들어간 음식은 아이러니하게도 더 맛있다고 해요. 애호박은 칼로리도 낮으며 비타민이 풍부하게 들어 있고, 칼륨도 풍부히 들어있어 나트륨 배출에도 좋다고 해요. ◈ 애호박 칼로리 100 g 당 - 칼로리: 16kcal | 지방: 0.18g | 탄수화물: ..

슈퍼 패미컴(SFC) 슈퍼 마리오 월드(한글판)

1990년 11월 21일에 슈퍼 패미컴과 동시 발매된 슈퍼 마리오 시리즈.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3의 속편 격의 작품. 롬 용량은 겨우 4Mb(=512KB) 슈퍼 패미컴과 동시에 발매된 런칭작으로, 전작인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3과 함께 2D 마리오 사상 최고의 명작으로 꼽히며, 30년이 넘은 현시대에 플레이해도 충분히 재미있는 게임이라는 평을 받는다. IGN에서는 게임 역사상 최고의 런칭 게임 5위로 슈퍼 마리오 월드를 선정하였다. 슈퍼패미컴을 자리 잡게 만든 일등공신이자 그만큼 훌륭한 론칭 게임이었단 점을 말해주고 있다. '3와 월드 중 어떤 것이 더 명작인가?' 하는 질문은 게임계의 영원히 풀리지 않을 난제로 꼽히며, 온갖 변신기믹과 맵상 아이템, 보너스 스테이지, 숨겨진 요소 등의 다양성을 좋아하는 ..

슈퍼 패미컴(SFC) 슈퍼 마리오 올스타(한글판)

슈퍼 패미컴으로 발매된, 패밀리 컴퓨터의 슈퍼 마리오 시리즈 4개를 합본 이식한 작품. 수록된 4개 게임 모두 슈퍼 패미컴의 발전된 성능에 맞게 그래픽과 사운드를 새로 리뉴얼한 일종의 리메이크작이다. 북미판에서는 '슈퍼 마리오 올스타즈'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으며, 이 제목으로 검색해도 본 문서에 리다이렉트된다. 일본은 패미컴 발매 10주년인 1993년 7월 14일, 북미판은 1993년 8월 1일에 발매되었다. 용량은 16Mbit. 수록 게임은 다음과 같다.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2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더 로스트 레벨즈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3 패미컴 시절 최고의 명작들을 슈퍼 패미컴으로 즐길 수 있는 메리트 덕에 전 세계 1055만장을 팔아치우면서 슈퍼 패미컴 게임 판매량 ..

어떤 양념에도 어울리는 대나무 죽순, 효능과 부작용 알아보아요.

죽순은 대나무의 어린싹을 얘기하는데요. 대나무의 뿌리가 구근화한 후 지상으로 돋아난 어린 순을 말하는 거예요. 죽순은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약재나 요리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데, 맛은 무미하지만 식감이 아삭 거리며 다른 양념을 잘 받아들여서 어떻게 양념을 해도 맛있는 요리가 된다고 해요. 다만 죽순은 기본적이 독성과 비린내가 나 요리를 하기 전 손질을 한 후 꼭 삶아야 한다고 해요. 대나무 죽순은 온대지방에서는 초봄, 열대지방에서는 여름에 성장을 시작한다고 해요. 죽순이 땅 위로 얼굴을 내미는 무렵부터 하루에 몇Cm에서 1m까지 자라나는 경우가 있다고 해요. 그래서 죽순을 채취 시에는 속도전으로 캐야 한다고 하네요. ◈ 죽순 칼로리 1 컵 (1.25 cm 슬라이스)당 - 칼로리: 41kcal | 지방..

슈퍼 패미컴(SFC) 초대 열혈경파 쿠니오군(한글판)

테크노스 재팬이 1992년 8월에 발매한, 열혈 시리즈 첫 SFC 기종 발매작이자, 오래간만에 제대로 돌아온 액션 장르의 열혈 시리즈. 오사카로 수학여행을 떠난 쿠니오 일행이 겪게 되는 사건들을 그리고 있다. 다운타운 쿠니오군에 이어 두 번째 오픈월드 게임이면서도, 다운타운 시리즈처럼 코믹한 요소를 빼고 초대작인 열혈경파 쿠니오 군의 진지한 요소를 섞었다. 즉 그동안 운동 쪽으로 겉돌았던 열혈 시리즈의 원점회귀 + 리메이크를 목표로 제작한 수작으로, 열혈 격투 전설과 함께 열혈 시리즈의 팬들이 반드시 꼽는 열혈 시리즈의 명작이다. 캐릭터들의 디자인은 그간의 SD(정확히는 2.5등신)에서 벗어나, 열혈경파 쿠니오군때처럼 늘씬한 5등신으로 돌아왔다. 2인 플레이를 할 경우에는 리키도 등장한다. 액션 RPG의..

슈퍼 패미컴(SFC) 한국 프로야구(한글판)

현대전자와 자레코의 합작으로 1994년 2월 7일 출시된 슈퍼패미컴 게임으로 제목 그대로 한국 프로야구를 게임화하였다. 영문명칭은 Korean League. 데이터는 전해인 1993 시즌 기준으로 되어있다. 사실 이 게임은 1993년에 발매된 쟈레코의 일본 프로야구 게임인 슈퍼 3D 베이스볼(Super 3D Baseball)을 한국 프로야구에 맞게 현지화한 게임이다. 그래서인지 한국 프로야구도 타이틀 화면의 연도는 1993년으로 되어 있다. 로컬라이즈 비용은 당시로서도 매우 큰 액수인 1억 원을 들였다고 당시 게임잡지에서 소개되었다. 제목 그대로 리그를 돌릴 수 있다. 당시 기술로는 혁신적이었던 유사 3D 그래픽을 채택하고 있다. 투구할 때는 화면이 투수 정면을 가운데로 비추고 타석을 아래로 비추는 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