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6

슈퍼 패미컴(SFC) 슬램덩크 2 - IH 예선 완전판(한글판)

슈퍼패미컴판 게임화는 전부 토세 제작이다 From TV Animation 텔레비전 아니메 슬램덩크 2 IH예선 완전판 (1995년 2월 24일, 반다이) 사강 격돌! 의 후속작. 전작의 카나카와현 4강에 북산의 1회전 상대인 삼포 고교와 극장판 2편에 등장했던 노량 고교가 추가되었다. 인명이 한국판으로 로컬라이징 된 한글판 롬이 있다 출처: 나무 위키 출처: 나무 위키 다운로드

슈퍼 패미컴(SFC) 웨딩피치(한글판)

1995년 9월 25일 발매. 제24화 학원제 에피소드를 기반으로 한 미니게임 모음집이다. 멀티탭을 사용하여 최대 3인까지 플레이 가능. 하지만 9800엔이라는 높은 가격에 비해 미니게임이 고작 9개라는 빈약한 볼륨, 그리고 미니게임 자체도 문제점이 제법 많기 때문에 일본 내에서는 쿠소게 취급받는다. 게다가 아무리 애니메이션의 에피소드를 기반으로 했다지만 엔딩도 성취감이 전혀 없다. 이런 쿠소게임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한글패치가 존재한다. 인터넷상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출처: 나무 위키 다운로드

슈퍼 패미컴(SFC) 젤다의전설 - 신들의 트라이포스(한글판)

젤다의 전설 시리즈 3번째 작품으로, 1991년 11월 21일 슈퍼 패미컴으로 발매되었다. 발매 시점으로 보자면, 전작들인 젤다의 전설이나, 링크의 모험과 큰 관계가 없는 새로운 이야기로 시작하는데, 이후 타임라인 설정이 먼 훗날 발매된 작품의 이야기를 잇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링크의 모험이 아닌 초대작인 젤다의 전설을 계승하는 작품. 슈퍼 패미컴의 화려한 그래픽과 뛰어난 음악, 훨씬 더 늘어난 액션과 아이템, 그리고 각종 숨겨진 요소 등등 패미컴판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의 완성도로 등장했다. 당시로선 최고 점수였던 패미통 크로스 리뷰 39점을 받으며 높은 평가를 받은 명작.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임의 용량이 겨우 8 Mbit(1MB)라는 것은 지금도 믿기지 않는 경이로움 그 자체다. 그 영향력과 게임..

슈퍼 패미컴(SFC) 성검전설 2(한글판)

스퀘어에서 만든 액션 RPG 게임. 성검전설 시리즈의 2번째 작품으로, 성검전설 시리즈가 본격적으로 대작 RPG로서 명성을 떨치기 시작하게 된 시발점이다. 그리고 성검전설 시리즈 중 가장 흥행한 작품. 누계 150만 장의 매출을 기록하였으며 이후 작품들은 평가는 좋았을지언정 이 숫자를 넘지 못했다. 두 번째로 많이 팔렸다고 집계되는 성검전설 3과 비교해도 1.5배 이상의 차이가 난다. 1993년 8월 6일 슈퍼 패미컴용 타이틀로 처음 발매되었고, 2018년 2월 15일 PC/PS4/Vita 플랫폼으로 풀3D 리메이크 발매되었다. 본래는 다나카 히로미치의 심리스 배틀형 파이널 판타지 4 기획안에서 출발. 이 기획은 공모전에서 오르지 못해 파판4가 되지는 못했으나, 토리야마 아키라와의 슈퍼패미컴 CD-ROM..

슈퍼 패미컴(SFC) 크로노 트리거(한글판)

스퀘어가 1995년에 발매한 RPG. 슈퍼 패미컴으로 발매되었으며, 이후 추가 요소 등을 수록한 PS1판이 있다. Steam을 통해 PC판으로도 이식되었으며, NDS 버전으로도 이식되었다. 크로노 트리거는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호리이 유지와 드래곤볼과 닥터 슬럼프의 토리야마 아키라,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사카구치 히로노부가 뭉친 이른바 드림 프로젝트라는 캐치 프레이즈 하에 개발된 작품이다. 당시 드래곤 퀘스트와 파이널 판타지의 위상은 두 말 할 필요도 없는 것이었고 라이벌 구도에 오른 상태였는데 그런 게임의 크리에이터들이 뭉쳐 RPG 게임을 만든다는 것은 대사건 그 자체였다. 이런 약속된 초대작이었던 크로노 트리거는, 이런 모양새 때문에 자사에서 개발하던 라이브 어 라이브를 팀킬 하는데 일조하기도 한..

슈퍼 패미컴(SFC) 파이널 판타지 4(한글판)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중 가장 많이 리메이크된 작품.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4번째 작품. 암흑 기사였던 주인공 세실 하비의 여정을 그리고 있다. 롬 파일 용량은 1MB. 본래는 패미컴용으로 4, 그리고 슈퍼패미컴으로 기획된 5가 있었으며 위와 같은 스크린 샷까지 공개되었으나, 닌텐도의 요청으로 인하여 패미컴용으로 개발되던 4는 폐기되고 슈퍼패미컴용의 5를 하나 땡겨서 정식 넘버링의 4편으로 발매하게 되었다. 이 상황은 파이널 판타지 15로 재연되었다. 저쪽은 땡긴게 아니라 다 발표한 상황에서 뒤로 미뤘지만... 저쪽에 대해서는 워낙 발매한 작품이 많았기에 특히 라이트닝 사가 딱히 비난할 수 없다. 시리즈 최초로 ATB 시스템이 도입되었으나, ATB 게이지는 보이지 않았다(리메이크에선 확실히 있다). A..

슈퍼 패미컴(SFC) 파이널 판타지 5(한글판)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 ATB 시스템이 적용된 두 번째 작품이자, 파이널 판타지 3에서 소개된 잡 시스템을 완성시킨 작품으로 불린다. 스트리트 파이터 2가 나온 지 채 6개월도 안되어 롤플레잉 게임이 전작 FF4의 두 배인 16Mb(=2MB)의 대용량을 사용하여 엄청난 화제가 되었다. 시리즈 최초로 245만개 의 출하를 달성하여 드퀘 5 다음으로 92년도 인기 게임 4위에 등극 게임성으로나 인기면에서나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와 대등한 위치에 올라서며 본격적으로 드퀘 vs 파판의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FF의 아버지 사카구치 히로노부가 디렉터로 참여한 마지막 작품.[2] 사카구치 히로노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한 역작으로 평가받는다. 스토리는 FF다운 빛의 4전사와 크리스탈 중심. ..

슈퍼 패미컴(SFC) 파이널 판타지 6(한글판)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6번째 작품. 1994년 발매. SFC/SNES 롬 카트리지 용량은 24 Mbit(=3MB)이라는 초대용량에 11742엔(11400엔+소비세 3%)이라는 가격으로 발매되었다. 전작의 대성공으로 기대도도 엄청 올라가 있었기 때문에 발매 직후에는 15만 원선에 거래되기도 했다. 시리즈 중 슈퍼패미컴 플랫폼으로 발매된 마지막 작품. 세계를 구하러 가게 되는 각자 다른 사연을 가진 여러 인물이 나오며, 발매 초기엔 모두가 주인공인 작품으로 홍보되었으나, 스토리의 굵직한 흐름상 주인공은 티나 브랜포드이며 후에 디시디아에서 티나가 시리즈의 주인공 자격으로 참전함으로써 준공식적인 주인공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최고의 파판을 말할 때 4, 7, 9, 10과 함께 가장 많이 거론될 정도의 명작으로,..

신의 선물이라 불리는 올리브, 익숙하진 않지만 몸에는 좋아요.

지중해에선 신의 선물이라고 불리는 과수인데요. 성경에는 감람나무라고 언급이 되며 그리스 신화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과일이에요. 인류가 처음으로 재배하기 시작한 과수라고도 해요. 올리브는 ‘올리브’, ‘블랙 올리브’라고블랙올리브’라고 두 개의 이름으로 불리는데요. ‘올리브’는 다 익지 않은 올리브를 불리는 이름이고, ‘블랙 올리브’는 잘 익은 올리브를 불리는 이름이라고 해요. 대체적으로 올리브는 생으로 안 먹고 기름을 짜거나 식초 또는 소금에 절여 먹는데요. 그 이유는 올리브를 그냥 먹으면 굉장히 쓰다고 해요. 근데 절임류 일지라도 완전하게 쓴맛이 없어지진 않는다고 해요. 우리나라에서는 대체적으로 생 올리브보다는 대형마트에서 올리브 절임류를 팔고 있어요. 음식으로는 주로 피자 토핑으로 쓰이는데 생소한 거라 ..

플스2(PS2) SNK VS CAPCOM

SNK 플레이 모어가 2003년 7월 24일에 출시한 캡콤과의 크로스오버 작품. 이름 그대로 SNK 캐릭터들과 캡콤 캐릭터들을 집대성한 대전 액션 게임이다. 네오지오 MVS 기판으로 발매되었으며 가정용 네오지오 카트리지판도 존재한다. 용량은 708 Mbit. PS2와 XBOX로도 이식되었다. 후속작은 아니지만 실질적인 후속작으로는 아토미 스웨 이브 기판으로 발매한 캡콤 측이 빠진 네오지오 배틀 콜로세움이 있다. 책임 프로듀서는 카와사키 에이키치. SNK 창업자이다. 원래 이 게임은 CAPCOM VS SNK가 발매된 2000년에 동시에 발매할 예정이었으나 SNK가 2001년 도산하면서 무산되었다. 그리고 2003년 SNK 플레이 모어라는 이름으로 다시 재건해서 만든 게임이 이 게임이다. 가정용 제작이 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