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6

닌텐도 DS (NDS) 마리오&루이지 RPG 3 쿠파 몸속 대모험 (한글판)

닌텐도 DS로 발매된 마리오&루이지 RPG 시리즈의 3번째 작품. 전작 마리오&루이지 RPG: 시간의 파트너의 게임성을 더욱 개량시키고 간단하게 바꾸었다. 전작에서는 베이비 마리오, 루이지를 사용할 수 있었던 점이 특징이라면, 이번 작에서는 쿠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 특히 이번 작품에서는 쿠파의 비중이 높아지고, 아기자기한 느낌의 마리오, 루이지 형제의 조작과는 달리, 쿠파 조작 시에는 화끈한 조작을 느낄 수 있으며, 전작에서 4인의 캐릭터를 한꺼번에 조작하는 것이 너무 번거롭다는 지적이 많아서인지, 마리오 형제들 조작과 쿠파의 조작은 완전히 별개로 진행된다. 전작의 다너군에 이어 이번 작에서는 옐로스타가 도우미로 등장. 옐로 스타는 후속작인 드림 어드벤처와 페이퍼 마리오MIX에서도 도우미로 ..

닌텐도 DS (NDS) 마리오 소닉 베이징 올림픽 (한글판)

세가가 개발한 스포츠 게임 소프트웨어로, 마리오와 소닉 올림픽 시리즈의 첫작이다. 배경 대회는 2008 베이징 올림픽. Wii판은 2007년 11월 20일, 닌텐도 DS판은 2008년 1월 17일에 발매 되었다. 한글판은 2008년 5월 29일에 Wii, 6월 26일에 닌텐도 DS로 발매되었다. 게임 자체는 매우 단순하다. 마리오 시리즈나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캐릭터를 조작하여 올림픽 경기에서 다른 선수와 경쟁하는 것이 기본을 이룬다. 이때 각 경기의 플레이 방법은 실제 경기의 특성을 게임기 조작으로 적절하게 재현해 놓은 형태이다. 예를 들어 닌텐도 DS판 베이징 올림픽으로 해머 던지기를 한다면, 터치 스크린 위로 원을 그려 해머를 돌리다가 터치펜을 떼어 던지는 식이다. 멀리뛰기나 창던지기의 경우 타..

닌텐도 DS (NDS) 마리오 파티 DS (한글판)

닌텐도 DS로 출시된 마리오 파티 시리즈의 10번째 작품. 일본에서는 2007년 11월 8일, 한국에서는 2008년 5월 22일에 발매되었다. 같은 해 출시된 마리오 파티 8과 함께 허드슨이 제작에 관여한 마지막 휴대용 마리오 파티 시리즈다. 스토리 모드, 파티 모드, 미니게임 모드, 퍼즐 모드, 다운로드 플레이, 갤러리의 6가지 메뉴가 있다. 마파 포인트라는 것이 있어 여러 가지 모드에서 모은 코인/스타 등을 포인트로 환산해서 누적시킨다. 포인트를 모으다 보면 갤러리의 엠블렘이나 피겨 등을 얻을 수 있다. 출처: 나무 위키 마리오 파티 DS - 나무위키 플레이어블 캐릭터로는 아래의 8명이 있다. 팀끼리 뭉칠 때는 캐릭터들의 조합에 따라 팀명이 정해진다. 마리오루이지와리오요시피치데이지와루이지루이지마리오브..

닌텐도 DS (NDS) 마리오 소닉 벤쿠버 동계 올림픽 (한글판)

마리오와 소닉 베이징 올림픽의 후속작. 배경 대회는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국내에는 2009년 12월 3일 발매. 플레이 가능한 경기는 동계 스포츠와 이를 베이스로 한 드림 경기. 전작과 동일하게 Wii판과 DS 판이 각각 조금씩 다르다. 또한 이후 기종부터는 휴대용 콘솔은 3DS로 발매되면서 DS판을 지원하는 마지막 시리즈가 되었다. Wii판의 경우 일부 경기에서 Wii Fit의 컨트롤러인 Wii 보드로 컨트롤할 수 있으며, DS판의 경우 전작에는 없던 스토리 모드인 '어드벤처 투어'와 미니게임이 추가됐다. 이번 작부터는 캐릭터 당 '스페셜 액션'이 배정되어, 경기 중 사용할 수 있다. DS판은 드림 경기의 일부 경기에만 한정되고 총 3가지 분류로 나뉘나, Wii판은 대부분의 경기에서 A버튼을 누..

닌텐도 DS (NDS) 리틀리스트 펫샵가든 (한글판)

하스브로의 완구 시리즈를 그대로 게임에 반영한 닌텐도 DS 전용 리틀리스트 펫샵 가든은 20가지의 펫을 수집해 100개가 넘는 액세서리로 스카프를 둘러주고 모자나 선글라스도 씌어 자기만의 애완동물을 더 귀엽게 만들 수 있고, 화사하고 스타일리시하게 변신시킬 수 있다. 또한 펫과 함께 정원을 산책하며 휴일을 보내며 펫 플라자를 통해 자신만의 펫샵을 관리 할 수도 있다. 펫과 함께 하는 미니게임은 액세서리, 놀이기구, 그리고 새로운 펫을 획득하기 위해 16가지의 재미있는 도전을 펫과 함께 즐기며, 미니게임은 공 굴리기, 박자에 맞춰 터치하기 등 각각의 다른 난이도에 따라 도전할 수 있다. 또한 펫의 기념일을 챙겨 여러가지 이벤트를 계획해 리틀리스트 펫샵만의 스타일로 파티를 열어줄 수도 있다. 출처: INVE..

닌텐도 DS (NDS) 룬 팩토리 - 신 목장이야기 (한글판)

목장이야기 시리즈의 판타지 버전으로 유명한 룬 팩토리 시리즈의 첫 작품. 발매 기종은 NDS. 목장이야기 시리즈의 10주년 기념 프로젝트인 '신목장이야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된 작품이라 시리즈 중 유일하게 '신목장이야기'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이후 작품부터는 부제가 사라진다. 원화 가는 그 유명한 이와사키 미나코. 일본에서는 2006년 8월 발매. 한국에서는 2010년에 한글화 되어 발매되었다. 다만 일본어 원판이 아닌 영문판을 한글화 한 듯 이름은 영어로만 넣을 수 있으며 폰트 문제로 영문 이름과 한글화 된 텍스트가 이질적이라 불평이 많다. 신규 등장인물들이 추가되고 일부 히로인 후보가 삭제된 후속작으로 룬 팩토리 프론티어가 있다. 후속작이지만 리메이크에 가깝다. 이 작품의 메인 히로인 미스트는 ..

닌텐도 DS (NDS) 레이튼 교수와 악마의 상자 (한글판)

레이튼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으로, 이상한 마을에서 이어지는 1세대 본편의 두 번째 이야기이다. 게임 진행방식은 전작과 동일하게 수수께끼를 풀면서 스토리를 진행하는 것으로, 레이튼의 도전장을 포함해서 총 153개의 수수께끼가 준비되어 있다. 숨겨진 수수께끼 및 와이파이를 통한 수수께끼 다운도 가능했지만 와이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다운로드가 불가능해졌으나. 현재는 모바일 HD판의 발매로 정상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다. 기본적인 스토리는 전작 이상한 마을에서 이어지며, 레이튼 교수와 조수 루크가 레이튼의 은사인 앤드류 슈레이더 박사에게서 악마의 상자라 불리는 물건을 알게 되고 악마의 상자에 얽힌 비밀과 진실을 풀러 떠나는 이야기. 한국에서는 일곱 대부호의 음모가 발매되기 전까지 마지막으로 정발 된 레이튼 시리즈..

닌텐도 DS (NDS) 레이튼 교수와 이상한 마을 (한글판)

레이튼 시리즈의 데뷔작이자 1세대 본편의 첫 번째 이야기. LEVEL-5의 첫 자사 퍼블리싱 게임이자, 첫 닌텐도 플랫폼 게임이다. 수수께끼 게임에 스토리가 주어져 큰 인기를 끌었다. 국내에서도 유럽판을 베이스로 하여 정발 되어 많은 팬을 보유하고 있다. 국내판의 게임 내 더빙 음성은 영국 버전으로 나온다. 총 135개의 수수께끼가 있으며 와이파이에 접속해 추가로 수수께끼를 받을 수도 있었으나, 닌텐도 Wi-Fi 서비스가 종료되었기에 DS판에서 추가수수께끼를 받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 일본의 경우 한자 위에 히라가나 표기를 추가한 프랜들리 버전을 출시할 때 다운로드 없이 추가 수수께끼를 플레이할 수 있게 수정했으며, 현재는 추가 수수께끼가 미리 수록된 모바일 HD판의 발매로 편하게 플레이할 수 있게..

닌텐도 DS (NDS) 레이맨 엽기토끼 TV파티 (한글판)

《레이맨 엽기토끼 TV 파티》(Rayman Raving Rabbids TV Party)는 유비소프트가 개발한 Wii와 닌텐도 DS용 캐주얼 게임 소프트웨어이다 지구를 침공한 엽기토끼들이 TV속으로 들어가 버렸다. 여러분은 래이맨이 되어 이 엽기토끼들을 TV속에서 쫓아내야 한다. 해외 유명 TV 프로그램을 패러디 한 40여가지의 미니게임을 완수하여, TV속에서 엽기토끼를 쫓아내자. 친구들과 둘이서 대전 모드를 플레이하자. 게임이 없는 친구와도 다운로드 플레이로 같이 즐길 수 있다. 출처: 위키 백과 레이맨 엽기토끼 TV 파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닌텐도 DS (NDS) 라그나로크 DS (한글판)

닌텐도 DS로 라그나로크 온라인을 이식한 게임. 개발사는 그라비티가 아닌 일본의 겅호온라인엔터테인먼트. 2008년 겨울에 NDS로 발매 예정이 잡히며 (라그나로크를 했던) 이들을 기대하게 만든 게임. 2009년 6월 한국에도 정식 발매되었는데, 일본에서의 평가가 영 안 좋았던지라 기대 반 불안 반이었던 한국 게이머들의 반응은 생각보다 나쁘지는 않다는 수준. 일본에서의 낮은 평가가 득이 된 듯하다. 주인공 이외에 2명의 캐릭터를 명령을 통해 움직이는 등 온라인 게임에는 없던 요소를 도입했다. 그래서 1인용 게임임에도 파티 사냥 비슷한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주인공을 제외한 동료 캐릭터들은 스탯과 스킬을 랜덤으로 찍고 랜덤으로 쓴다는 게 문제. 스탯은 직업에 따라서 나름대로 괜찮게 찍는데 반해, 스킬은 말..